All posts tagged: 아일레이

라가불린 16

병과 라벨의 디자인이 참 멋지다. 눈으로 즐기는 위스키의 첫인상은 라가불린이 제일 좋았다. 입에 착착 감기는 고급스런 어감도, 16년 숙성의 적당함도 좋다. 인기가 많아서 구하기가 쉽지 않고 가격도 비싼편인데 일본에서 그나마 싸게 구입했다. 라프로익 10의 3만원대의 가격만큼의 가성비 만족도가 높진 않지만 맛을 보니 균형잡힌 위스키의 품격이 어떤것인지 알 것도 같다. 스모키함이 극대화된 라프로익에서 밸런스를 살린, 조금은 순화된 피트감이다. 그래도 역시나 아일라 위스키다. 아내가 옆에서 병원냄새 난다고 했을 때, 순간 그날의 기억이 스쳐 지나갔다. 고추가 버섯으로 변신하기 위한 고통에서 느꼈던 그 소독약 냄새가.. 생각났다. 컴컴하고 축축한 한기가 느껴지는 노오란 백열등 아래 흰? 침대. 내 의식은 그 옛날 독립투사가 731부대 생체 수술실에 들어가는 심정이었다. 지금은 없어진 구로동의 남성의원. 초등5학년, 인생 최대의 위기에서 뜬금없이 기이한 감각이 출몰했다. 간호사에 의한 너무나 부드럽고 촉촉한 피부의 자극, 엥 이 좋은 감촉은 뭐지 그런 찰나에 불빛에 비친 마취주사약의 방울방울들이 낙하하는 슬로우모션… 역시나 알콜의 매력은 기억을 환기시킨다. 고통스런 기억도 추억으로 포장한다. 처음으로 세상 구경나온 살갖의 설레임에 쓰라린 통증을 달래던 소독약 향이 지금은 왜이리 좋을까. 어쨌건 향수를 자극하는 라가불린 16년의 맛은 명성대로 우수했다. 사실 나는 아직 위스키의 다양한 맛을 느끼진 못한다. 애호가들이 위스키 품평을 할 …

라프로익 10

처음 라프로익을 알았을땐 모든게 비호감 이었다. 병의 색과 너무 하얀 라벨. 개구리를 연상시키는 이상한 이름. 한술더떠 항간의 시음평은 대부분 소독약향. 요오드향이 강해 도저히 마실수가 없다는 반응들 이었다. 또다른 반응들은 찬양 일색이었지만 왠지 옆 증류소인 라가불린의 고풍스런 이미지와는 천양지차와도 같았다. 그러나 부정과 편견은 강한 호기심을 낳는법, 과연 어떻길래. 위스키는 원래 소독약이었다. 아마도 이런 면을 잘 계승한 이미지가 라프로익이 아닐까. 현재에 이르러 싱글 몰트 스카치 위스키는 고급 향취의 대명사이지만, 태생 자체는 소독과 마취제의 일종으로 민간에서 통용되던 것이었다. 세계대전 중에 술의 제조에는 곡물이 많이 쓰여 제한했지만 일부 위스키 제작자들은 의료용 알코올의 일종으로 위스키를 생산했다. 라프로익의 이미지는 그런 연유가.. 코를 찌르는 향이 나지만 신기하게도 거부감이 들지 않는다. 오히려 입안에 머금으면 온화한 향이 감돈다. 겉과 속이 다른 질감을 액체에서 느낄 수 있다니.. 물론 호불호가 명확히 갈리겠는건 예상된다. 스모키향(소독약)향이 실내에 잔잔히 쌓인다. 아일레이 섬의 위스키와 생굴이 어울린다지만 김치찌개와의 조합은 상상 이상이었다. 뒤끝에 남는 스모키 여운이 짜고달고매운 김치찌개속의 돼지고기와 만나면 이게 바로 행복한 위로의 조화로구나를 알게 된다. 과연 생명의 물이 맞구나를 깨닫게 된다.    

보모어 12년

무라카미 하루키의 위스키 성지 여행이란 책은 아주 작고 얇다. 책의 원제는 ‘만약 우리의 언어가 위스키라면’ 이란다. 그의 여행법은 테마가 있는 여행이다. 당연히 스코틀랜드에 왔으면 위스키. 그가 골프를 친다는 얘기는 못 들어봤다. 기억이 가물가물 하지만 보모어 증류소의 숙소에 여장을 풀고 아일레이 섬의 싱글 몰트 위스키와 함께 굴을 먹는 즐거움을 예찬한다. 크게 스카치 위스키의 생산지는 네구역으로 나뉜다. 하이랜드. 로우랜드. 스페이사이드(절반이 넘는 증류소가 여기에). 그리고 아일레이 섬. 이 아일라 섬이라 불리는 곳의 위스키는 스모키향과 갯내음이 과하다는게 특징이다. 그래서 호불호가 명확한, 어떤이에게는 도저히 마실 수 없는 쓰레기 이고 또 어떤이는 코를 킁킁대며 환장한다. 본격적인 아일라 싱글 몰트 위스키의 관문은 보모어 12년으로 정했다. 나또한 유리잔에 코를 박고 하염없이 킁킁대는 족속이다. 병의 코르그 마개를 여는 순간부터 보통의 블렌디드 위스키와는 다르다. 처음 향과 뒷 여운의 스모키 향이 길지만 입 안에서의 맛은 달콤하고 부드럽다. 바다의 풍파에 시달린 거친 수염을 가진 선원이 연상되나 그 속 마음은 한없이 여리다. 일출 일몰의 스산한 경이로움을 간직한 듯 신비롭다. 올 겨울엔 굴과 함께 아일레이 위스키로 행복을 달려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