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스키
위스키를 마셔온지는 꽤 됐다. 자주는 아니었지만 식도를 핥고 지나가는 짜릿함을 종종 즐겼다. 처음 위스키에 입을 댄 것은 대학때 였다. 그 때 나는 용기가 필요했다. 좋아하는 여자애가 있었는데 걔는 누구를 좋아함에 경계가 없었다. 어제 나랑 데이트를 하고 오늘 어떤 남자 등뒤에 매달려 오빠 달려!를 외치며 쐐~앵 오토바이가 지나가더라고 후배가 와서 알려주었다. 가슴이 쓰리고 아팠다. 우리는 종로에서 데이트를 하며 ‘오 수정’도 같이 보았다. 손 한번 못 잡아봤지만 그 영화를 보았다는게 무척 대견스러웠다. 장롱위에 나열되 있던 양주 박스에 손이 간 건 그 즈음 이었다. 시바스 리갈 12년. 나는 형들이 추억삼아 얘기 하는 캡틴큐나. 나폴레옹의 사악함은 겪어보진 못했다. 어떤 형은 학교 과학실의 알콜램프의 알콜에다 보리차 섞은 맛이라 했고, 누군가는 그냥 신나(시너)를 마시는 거라 했다. 나는 캡틴큐를 마셔야 했다. 속에서 쓸어버려야 했다. 시바스 리갈 12년은 식도가 얼얼했지만 사악하진 않았다. 답답한 마음에 홀짝홀짝 마시다 보니 취기가 올랐고 용기가 생겼다. 전화를 걸었고 취중고백을 해버렸다. 그렇게 위스키는 인생의 달고 짜고 쓴 순간순간에 동거동락하는 사이가 되고 있었다. 왜 20대 때는 끝도 없는 상실감에 시달렸는지 모르겠다. 나의 모든 용기는 끝,에 맞춰져 있었다. 첫 위스키의 맛은 기억나진 않지만 뜨겁고 싸한 물이 목구멍의 감각을 마비시키며 휘발됐다. 위스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