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isky
Leave a comment

라프로익 10

처음 라프로익을 알았을땐 모든게 비호감 이었다. 병의 색과 너무 하얀 라벨. 개구리를 연상시키는 이상한 이름. 한술더떠 항간의 시음평은 대부분 소독약향. 요오드향이 강해 도저히 마실수가 없다는 반응들 이었다. 또다른 반응들은 찬양 일색이었지만 왠지 옆 증류소인 라가불린의 고풍스런 이미지와는 천양지차와도 같았다. 그러나 부정과 편견은 강한 호기심을 낳는법, 과연 어떻길래.

위스키는 원래 소독약이었다. 아마도 이런 면을 잘 계승한 이미지가 라프로익이 아닐까. 현재에 이르러 싱글 몰트 스카치 위스키는 고급 향취의 대명사이지만, 태생 자체는 소독과 마취제의 일종으로 민간에서 통용되던 것이었다. 세계대전 중에 술의 제조에는 곡물이 많이 쓰여 제한했지만 일부 위스키 제작자들은 의료용 알코올의 일종으로 위스키를 생산했다. 라프로익의 이미지는 그런 연유가..

코를 찌르는 향이 나지만 신기하게도 거부감이 들지 않는다. 오히려 입안에 머금으면 온화한 향이 감돈다. 겉과 속이 다른 질감을 액체에서 느낄 수 있다니.. 물론 호불호가 명확히 갈리겠는건 예상된다. 스모키향(소독약)향이 실내에 잔잔히 쌓인다. 아일레이 섬의 위스키와 생굴이 어울린다지만 김치찌개와의 조합은 상상 이상이었다. 뒤끝에 남는 스모키 여운이 짜고달고매운 김치찌개속의 돼지고기와 만나면 이게 바로 행복한 위로의 조화로구나를 알게 된다. 과연 생명의 물이 맞구나를 깨닫게 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