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ies
Leave a comment

악마를 보았다. 2010

이 영화를 왜 보려 했을까. 이제와서,, 나는 잔인하고 적나라한 폭력씬이 두렵다. 현실보다 극대화한 영화 감상은 충격을 넘어 고통이 전염되는듯 하다. 이 영화는 김지운 감독보다는 박찬욱 감독이 더 잘 어울려 보인다. 각본을 쓴 박훈정 감독은 세간에 천인공노할 범죄에 대한 네티즌들의 분노에 찬 악플을 보면서 그것을 영상으로 찍어보면 어떨까. 에서 영화의 모티브를 얻었다고 한다. ‘ 저런 놈은 아킬레스건을 끊고 사타구니를 오함마로 아작을 내고 아가리를 찢어 죽여야해’ 뭐..이런 식의 분노 표출을 영상화 한.

내가 이 영화를 볼려는 계기가 이 영화의 시작과 비슷하다. 요 근래에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악이 선한 사람을 해치는 어처구니 없는 사건 사례들을 보며 분노를 금할 수 없었는데, 내 자식이 내 가족이 저런 일을 당하면 나는 어떻게 할까. 란 누구나 할 법한 상상에서 이 영화가 생각났다. 너무 잔인하다고 해서 봉인해 둔 영화였는데, 이제서야 해제 했다.

복수라는 되게 단순한 구조를 가진 영화였다. 최민식이 악마 같이 나쁜놈 이었는데, 인간성을 상실한 사이코패스니 악역의 평면성은 어쩔 수 없었다. 그나마 마지막 자신의 가족에 의해 죽을 때 인간적인 공포를 느끼긴 했지만, 누구나 인간의 내면에 가진 선과 악의 딜레마가 아닌. 절대 악과. 그 악을 처단하기 위한 또다른 악마적 복수. 이 과정의 사실적 액션은 카타르시스를 넘어 좀 과도한 감이 있다.

최민식과 이병헌이기에 이런 영화가 가능하지 않았을까 싶다. 어쨋든 진짜 프로들. 김지운 감독만의 유머스런 장면도 종종 있다. 택시 강도와 맞닥드린 최민식과, 손에 관통한 드라이버 손잡이만 뽁 하고 빠지는 장면. 등..하지만 이 영화의 주제라면 박찬욱이 전공 아닌가.

이때의 이병헌 얼굴은 요즘 미스터 선샤인 얼굴에 비해서 참 젊고 좋았다. 해외판 영화 포스터는 어찌 이리 단순하고 명징할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